본문 바로가기

지난 리뷰

<피아노 프리즘> 프리뷰 - 더 많은 감상

 

더 많은 감상

 

"이 영화는 모든 한국어 사용자를 위해 화면해설과 음향자막이 추가된 배리어 프리 방식으로 제작되었습니다." 피아노 프리즘(오재형, 2021)은 이렇게 시작한다. 영화평론가 박동수가 를 전달하는 방식에서 정확히 지적했듯 보편적으로 배리어 프리 버전이 사후적으로 제작된다는 측면에서, 이런 방식은 독특하다. 피아노 프리즘에는 모든 장면에 자막이 보이고, 장면이 전환될 때마다 감독의 화면 해설이 들린다. 귀를 막아도 영화를 볼 수 있고, 눈을 감아도 영화를 들을 수 있다. 그러므로 장애신체의 불능이 아니라 사회적 구성인장애는 피아노 프리즘에서는 아주 작아질 것 같다.

 

물론 비장애인 관객이 그것을 정확히 헤아릴 수는 없다. 다만 비장애인 관객인 나에게 이러한 장치는 형식으로서 흥미로웠다. 감독의 화면해설과 실제로 비치는 화면 사이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간격은 오히려 영화를 보고/듣는 감각을 첨예하게 만든다. 내가 보고/들은 경험의 단수성에 해설과 자막이 개입하면서 나의 감상을 여럿 중 하나로 상대화 할 수 있게 되고, 이러한 간격에서 영화는 오히려 민주적인 감상 방식을 허용하는 것 같다. 나는 영화를 보면서 때때로 눈을 감았고 때때로 소리를 꺼보았다. 이러한 장치-형식은 외따로 존재하지 않는다. 피아노 프리즘은 그림을 포기하고 음악에서 화해를 맞는 한 감독의 이야기고, 그 감독이 피아노를 배우는 동안 사회의 불의를 어떻게 느끼고 반응했는지에 대한 기록이기 때문이다.

 

 

- 오오극장 관객프로그래머 금동현